▶공부!2013. 9. 16. 00:55

2차 변형,및 불펌은 절대 금지합니다!!

댓글이나 공감, 해주세요^^포스팅하는원동력이 된답니다.

조금 중요 매우중요 사람이름 년도

형광팬1>형광팬2

 

 

▶ 국사 part.

전시 체제화에 따른 사회 경제적 변화-(1)

 

 

 

1. 병참기지화를 위한 조선 공업화 정책

 

(1) 배경 : 대공황 영향 → 일본 경제위기 심화 → 침략전쟁을 통한 군수산업 육성, 일본'만주'한국의 경제 블록화 도모

(2) 조선 공업화 정책 : 한반도 북부를 중심으로 중화확 공업 집중 육성

(3) 남면북양 정책 : 원료 부족 대비로 남부지방에 면화재배, 북부지방에 양 사육 강요 → 한국 농촌이 일본 공업 원료 공급지로 전락

(4) 병참기지화 정책 : 중'일 전쟁(1937)후 한국을 병참기지로 전락시킴 → 경제체제를 군수 산업 위주로 개편

 

 

2. 농촌 안정화 정책

 

(1) 농촌의 구조의 변화 : 산미 증식 계획 (증산량<수탈량)식민지 지주제 강화, 쌀 중심의 단일 경작 방식의 고정(쌀가격 ↓유지, 자연재해 취약)

(2) 농촌 진흥 운동

- 배경 : 농민들의 춘궁기 굶주림 심화, 사회불안 고조 우려

- 전개 : 춘궁 퇴치, 부채 박멸 등을 내세워 실시(1932) → 소비 절약, 가계부 적기 등의 자력갱생 주장조선 농지령 제정(1934, 소작쟁의 중재, 고율 소작료 제한)

- 한계 : 경제적 빈곤을 농민의 게으름이나 낭비 등 개인 탓으로 돌려 농민 통제 → 한국 농민 몰락을 막지 못함.

 

-----------------------------------------------------------End-----------------------------------------------------

Posted by Eliette
▶공부!2013. 9. 15. 00:05

2차 변형,및 불펌은 절대 금지합니다!!

댓글이나 공감, 해주세요^^포스팅하는원동력이 된답니다.

조금 중요 매우중요 사람이름 년도

형광팬1>형광팬2

 

▶세계사 part

 

대공황과 경제 정책의 변화

 

(1) 대공황(1929) : 미국의 생산 과잉, 구매력 저하→수요'공금의 균형 붕괴(수요<공급), 미국주가 대폭락

전세계 확산(은행도산, 실업자↑악순환)

(2) 각국 대응

- 미국(수정 자본주의 정책←정부개입, 뉴딜정책 추진)

- 영국(파운드 블록 설정)

- 프랑스(프랑 경제 블록 형성)

뉴딜정책 : 대규모 공공사업, 노동 3권보장, 최저임금제 도입, 선린 외교 정책 = 루즈벨트의 대공황 극복정책

 

전체주의의 대두 (=개인보다 전체가 중요)

 

(1) 이탈리아 : 무솔리니파시스트 당 정권장악 ~ →국제 연맹 탈퇴(1937)

(2) 독일 : 히틀러나치당 대공황 이후 정권장악 → ~ 베르사이유 조약 폐기, 국제연맹 탈퇴

(3) 일본 : 대공황 영향으로 경제 불황 → 군부 강경파 군국주의를 내세우며 정권장악

대륙 침략(만주사변-1931,중'일 전쟁-1937)

 

◎제 2차 세계 대전

 

- 유럽 전선 : 3국 방공 협정 체결(이탈리아, 독일, 일본)독'소 불가침 조약 → 독일의 폴란드 침공

→ 파리 함락, 영국항전 →독'소 개전 → 대서양 헌장 →노르망디 상륙작전 → 베를린 함략 → 독일항복

- 아시아'태평양 전선 : 일본의 동남아시아, 진주만 공격 → 미국 참전 → 미드웨이 해전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 투하 → 일본 항복

- 결과 : 독일의 동'서 분할, 패전국의 식민지 상실

-------------------------------------------------------tip--------------------------------------------------------

Q. 전체주의란?

-개인은 전체 속에서 존재 가치를 갖는다는 주장을 근거로 강력한 국가 권력이 국민 생활을 통제하는 사상 및 체제 의미.

-------------------------------------------------------End------------------------------------------------------

 

Posted by Eliette
▶공부!2013. 9. 14. 15:20

평서

<주어+동사>의 형태 /~은...이다/...한다. 

ex>>

1. She is a doctor.(그녀는 의사이다.)

2. John is good at playing guitar.(John은 기타를 잘 친다.)

3. He didn't eat all day.(그는 하루종일 먹지 않았다.)

4. My daughter won't listen to me.(딸이 내 말을 들으려 하지 않는다.)

*1. 현재시제의 be동사가 있는 평서문이다.

*2. 1번의 풀이와 같습니다.다만 부정문은<be동사+not>의 형태.

*3. 일반동사인 경우는 <doV+not+동사원형>

*4. 조동사의 경우는 <조동사+not+동사원형>

 

의문문

문장의 마지막에 물음표를 붙이고 끝을 올려말한다.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없는 의문문, 부가의문문, 간접의무문 등이 있다.

ex>>

1. Who(m) do you love? (너는 누구를 사랑하니?)

2. Why is she so different from other celevrities?(그녀는 왜 다른 유명 인사들과 그렇게 다를까?)

3. We're late aren't we?(우린 늦었지. 안그래?)

4. A.We had a lovely holiday. (휴가 정말 좋았어.)

    B. Did you?(그랬어?)

5. A. It was a lovely concert.(멋진 콘서트였어.)

    B. Yes, wasn't it? (그래, 정말 그렇지 않았어?)

6. Did you buy a book or a magazine?(너는 책을 샀니, 아니면 잡지를 샀니?)

*1,2. 의문사로 시작하는 의문문은 Yes, NO로 대답하지 않는다.

(너는 누구를 사랑하니?라고 물었는데 "응","아니"라고 대답하면 웃기겠죠? 중요하지 않은거같지만 중요!)

*3. 평서문 뒤에 <be동사/조동사+주어?>형태의 짧은 의문문을 써서 상대의 확인이나 동의 를 구할수 있다.(뿌가의문문이다.)

*4. <조동사+주어?>형태의 짧은 의문문으로 대답하면 관심이나 놀람을 나타낸다.

*5. 긍정 진술에 대해 부정 의문문으로 대답하면 강한 동의를 나타낸다.

*6. be동사가 사용된 의문사가 없는 경우의 선택의문문. 선택의문문이란 둘중하나를 선택하라는 뜻으로 Yes나 NO로 답할수 없습니다.(실수하면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을 실수할때랑 똑같이됨;;)

 

여러가지 문장

감탄문, 명령문 등

 

명령문 : 상대방에게 명령/요구/금지/의뢰 등을 하는 문장. 상대방에게 직접 요하는 것이므로, 'You'를 생략하고 동사원형으로 시작.

'~해라/~하지말자' : 동사원형~/Don't +동사원형

'~하자/~하지말자' (청유문) : Let's+동사원형~/Let's+not+동사원형

ex>>

1. Be careful. (조심해.)

2. Open the door, please. (문을 열어주세요.)

3. Don't worry about it. (이것에 대해 걱정하지마라.)

4. Let's have a dinner at home. (집에서 저녁먹자.)

*1. 주어인 you를 생략하고 바로 동사원형으로 시작!

*2. 부드럽게 명령하거나 상대방에게 부탁을 할때에는 문장앞이나 뒤에 please를 씁니다.

*3. 일반동사가 있는 부정형의 명령문으로 <Don't+동사원형~>의 형태로 씁니다잉.

*4. '~을 같이 하지'라는 가벼운 권유나 제안을 할때도 청유문이 쓰인다.

 

What 으로 시작하는 감탄문

명사를 강조하는 것입니다.

<What+a(an)+형용사+명사(+주어+동사)>

ex>>

1. what a brave man (he is)! ((그는) 정말 용감한 사람이구나!)

2. What an elegant hotel (itis)! ((그것은) 정말 세련된 호텔이구나!)

*1. 명사가 단수로 a를 썻다. 문장 마지막의 주어 동사는 생략 가능.

*2. elegant의 첫소리가 모음이므로 an을 썼다.

 

How로 시작하는 감탄문

형요사, 부사 강조하는 것입니다.

<How+형용사(부사)(+주어+동사>

1. How lovely (She is)! ((그녀는)정말 사랑스럽구나!

2. How hard they work! ( 그들은 정말 열심히 일하는 구나!)

*1. 여기서 How는 뒤에 형용사를 강조하며, 주어 동사는 문맥장 짐작할수 있다면 생략할 수있습니다.

*2. 부사 hard를 강조하는 감탄문으로 의미를 정확하게 전하기 위해 주어 동사를 생략하지 않았습니다!!

----------------------------------------------------------------------------------------------------------------

도움이 됬다면

공감이나 댓 한줄 부탁드립니다.^^ 

Posted by Eliette
▶공부!2013. 9. 14. 15:16

2차 변형,및 불펌은 절대 금지합니다!!

댓 하나라도 적어주시고 가주시면 좋겠습니다^^

사람이름, 조금중요, 매우중요, 줄쫙은매우매우중요중요, 단원 ,년도 

 

 

 

*강화도 조약의 체결 (조'일 수호 조규, 1876년)

배경

국내 : 고종의 친정시작(1873), 민씨 저권성립, 대외정책 변화, [통상개화론의 대두(박규수, 오경석, 유흥기)☞문호개방필요성 주장[

국외 : 운요호 사건(1875년) 조약 체결 강요.

 

*강화도 조약 내용

1. 조선이 자주죽임을 명시-청의 간섭 배제의도

2. 부산 외 2 곳(원산, 인천) 개항 : 부산(1876), 원산(1880), 인천(1883)

3. 해안 측량의 자유 허용 : 조선의 영토주권 침해, 일본의 군사적 침략의도

4. 치외 법권 인정. 

 

*성격 : 외국과 맺은 최초의 근대적 조약, 불평등 조약

 

*부속 조약 체결(1876) : 조'일 수호 조규 부록( 일본인 거류지 설정, 일본 화폐사용 허용), 조일 통상 장정(무관세규정, 양곡의 무제한 유출 허용)

 

*조'미 수호 통상 조약의 체결 ( 1882)

배경 : '조선책략'유포

내용 : 거중조정, 치외 법권, 최초의 최혜국 대우 규정

 

*그 외 서양과의 조약 체결

영국(1883), 독일(1883), 러시아(1884, 조선의 독자적 수교 추진), 프랑스(1886, 천주교 교포 교권인정)☞모두 불평등

 

*정부의 개화 정책 추진

(1) 통리기아문 설치(1880)

(2) 해외 시찰단 및 외교 사절단 파견

1. 수신사 : 1차 김기수 일행(1876) 2차 김홍집 일행(1880) ☞일본

2. 조사시찰단(1881) : 박정양. 어윤중. 홍영식. 일본 정부기관과 군사'산업'법률'조세제도 시찰(문전사건)

3. 영선사(1881) : 김윤식과 유생들을 청에 파견. 무기제조법, 군사훈련법 배움, 기기창 설치 ☞청

4. 보빙사(1883) : (민영식, 유길준), (홍역식, 서광범) 등 조'미 수호 통상 조약 이후 공사파견 답례로 감.(미국)

 

*위정척사 운동 : 반외세 반침략적 운동

 

*임오군란

배경 : 민씨 정부의 개화정책, 일본경제침탈 불만, 구식군대에 대한 차별대우

전개 : 민씨 정부 고관습격, 일본교관 살해, 일본공사관 습격☞ 궁궐 습경 명성황후 피신, 흥선대원군 재집권(개화정책 중단, 5군영 부활)☞청의 개입☞흥선대원군 잡아감ㅋ

결과

1. 청의 내정간섭 강화

2. 일본과 제물포 조약을 맺음 : 일본군 주둔 허용, 배상금 지불(ㅅㅂ그러니까 민중좀 잘 돌보지..꼴좋다.)

 

*온건 개홮파와 급진 개화파의 형성

구분

온건개화파(사대당)

급진개화파(개화당)

중심인물

김윤식, 김홍집, 어윤중 등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서광범 등

개화정책

청과의 우호관계

청의 내정 간섭과 민씨 정권의 친정정책반대

개화사상

동도 서기론에 기반

문명 개화론에 기반

개혁속도

느린편

빠른편

개혁모델

양무운동

메이지 유신

 

★갑신정변(1884, 중요매우)

배경 

1. 청의 내정 간섭 강화, 개화당 불만 증폭

2. 일본 차관도입시도 (for 기금 마련)☞개화당의 정치적 입지 약화

3. 청'프 발발☞ 일본은 개화당에 대한 군사적 지원 약속(근대 안해줌 ㅋ 역시 일본정치란..ㅋ)

 

*전개

개화당이 우정총국 개국 축하연을 이용해 민씨 정권요인 살해☞ 개화당 정부 수립☞ 14개조 정강 발표☞청의 개입으로 3일만에 끝남요ㅋ

-개화당이 추구한 개혁 내용

정치 : 청에 대한 사대관계 청산(흥선대원군 귀국주장), 내각 중심의 정치 실시(입헌군주제 지향)

경제 : 지조법 조세제도(토지개혁x) 개혁, 호조 중심의 재정 일원화, 혜상공국 철폐(=자유로운 상업행위)

사회 : 인민 평등권의 확립, 능력에 따른 인재등용

 

*결과

1. 청의 내정 간섭 강화 : 친정보수 세력 집권 강화 : 진정보수 세력 집권 강화

2. 개화운동 위축

3. 한성조약 체결( 조선과 일본)

4. 텐진조약 체결 ( 청과 일본) : 청'일 군대 동시 철수, 파병시 사전통보(나중에 청.일 전쟁시발점.)

의의 : 근대 국가 건설을 위한 최초의 정치개혁 운동☞ 갑오개혁, 독립협회 영향

 

*한계

1. 토지제도 개혁 외면

2. 일본 의존적 태도

3. 위로부터의 급진적 개혁

4. 대다수의 관료와 민중의 지지를 못얻음.(대부분의 개혁이 민중의 지지를 얻지못하면 실패함.민중의 힘이란ㅋ)

 

조선 중립화론

부들러 : 조선정부에 한반도의 영세중립을 선포할 것을 건의

유길준 : 청을 중심으로 하는 열강들이 인정하는 조선의 중립화론을 주장.

 

*개항 초기, 일본상인들의 무역독접(조일 수호 조규 부록)

일본상인 특권 : 영사재판관, 일본화폐사용권, 수출입 관세없음. 양곡 무제한 유출가능.

→특권을 이용한 일본상인의 약탈적 무역

거류지 무역 : 활동 범의 10리이내 제한

 

*임오군란 이후, 청 상인과 일본 상인간의 무역 전쟁

(1)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체결 ( 1882) : 청 상인에게 내지 통상권 허용, 치외법권ㅇ

국내 상인과 수공업자 몰락 대몰락

1. 조'일 수호 조규 속약(1882) : 거류지 무역 확대(50리, 2년후에 100리), 양화진 개시

2. 조'일 통상 장정 (1883) : 방곡령 규정, 관세 설정, 최혜국 대우

(2) 청' 일본 상인들이 무역 경쟁 심화 : 외국 상인들의 내륙진출국내 상인과 수공업자 몰락

(3) 청'일전쟁 (1894)이후 일본상인이 조선무역 독점.

 

*방곡령 선포

배경 : 흉년, 일본으로의 곡물유출(일본 사넙화진행에 따른 인구증가로 인한.)☞ 곡물 가격 폭등

전개 : 함경도(1889), 황해도(1890), 충청도, 경상도 시행☞일본은 "조'일 통상장정(1883)" 규정을 지키지 않았다고 철회와 배상금 요구

 

결과, 조선정부의 굴욕

 

----------------------------------------+++++++++++플러스+++++++++++-----------------------------------------

갑신정변 14개조 개혁 정강(나름 중요한것만.이중 체크되있는 부분만 보면됨.)

 

 1. 흥선 대원군을 빨리 귀국시키고 청에 대하여 행하던 조공의 허례를 폐지한다.

 2. 문벌을 폐지하고 인민 평등권을 제정하여 능력에 따라 관리를 임명한다.

 3. 지조법을 개혁하여 관리의 부정을 막고 백성을 보호하며, 국가 재정을 넉넉하게 한다.

 4. 내시부를 없애고 그 중에서 우수한 인재를 등용한다.

 5. 그동안 국가에 해독을 끼친 탐관오리 중 특히 심한 자를 처벌한다.

 6. 각 도의 환곡을 영구히 받지 않는다.

 7. 규장각을 폐지한다.

 9. 혜상공국을 혁피함.

 10. 귀양살이를 하거나 옥에 같혀 있는 죄인은 그 정상을 참작하여 적당히 형을 감한다.

 12. 모든 재정은 호조에서 관할하고 그 밖의 재무 관청은 폐지한다.

 13. 대신과 참찬은 의정부에 모여서 정령을 의결하고 반포한다.

 14. 의정부, 6조 외의 모든 불필요한 기관을 없앤다.

 

 

-------------------------------------------------------------------The End--------------------------------------

감사합니다.

 

보셨으면 댓 한줄 부탁드려요.^^

Posted by Eliet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