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국사] 병참기지화/조선공업화/농촌안정화정책/농촌진흥운동/국사 요점정리

Eliette 2013. 9. 16. 00:55

2차 변형,및 불펌은 절대 금지합니다!!

댓글이나 공감, 해주세요^^포스팅하는원동력이 된답니다.

조금 중요 매우중요 사람이름 년도

형광팬1>형광팬2

 

 

▶ 국사 part.

전시 체제화에 따른 사회 경제적 변화-(1)

 

 

 

1. 병참기지화를 위한 조선 공업화 정책

 

(1) 배경 : 대공황 영향 → 일본 경제위기 심화 → 침략전쟁을 통한 군수산업 육성, 일본'만주'한국의 경제 블록화 도모

(2) 조선 공업화 정책 : 한반도 북부를 중심으로 중화확 공업 집중 육성

(3) 남면북양 정책 : 원료 부족 대비로 남부지방에 면화재배, 북부지방에 양 사육 강요 → 한국 농촌이 일본 공업 원료 공급지로 전락

(4) 병참기지화 정책 : 중'일 전쟁(1937)후 한국을 병참기지로 전락시킴 → 경제체제를 군수 산업 위주로 개편

 

 

2. 농촌 안정화 정책

 

(1) 농촌의 구조의 변화 : 산미 증식 계획 (증산량<수탈량)식민지 지주제 강화, 쌀 중심의 단일 경작 방식의 고정(쌀가격 ↓유지, 자연재해 취약)

(2) 농촌 진흥 운동

- 배경 : 농민들의 춘궁기 굶주림 심화, 사회불안 고조 우려

- 전개 : 춘궁 퇴치, 부채 박멸 등을 내세워 실시(1932) → 소비 절약, 가계부 적기 등의 자력갱생 주장조선 농지령 제정(1934, 소작쟁의 중재, 고율 소작료 제한)

- 한계 : 경제적 빈곤을 농민의 게으름이나 낭비 등 개인 탓으로 돌려 농민 통제 → 한국 농민 몰락을 막지 못함.

 

-----------------------------------------------------------End-----------------------------------------------------